본문 바로가기

뉴스야 뭐하니?

아르헨티나는 강팀, 패했다고 주눅들 이유없다


한국이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 4-1로 패하면서 국가대표팀과 허정무 감독에 대한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매정하게 양팀 선수들의 극명한 실력차를 탓할 이유도 없어 보이고, 겨우 두 경기만에 허감독의 전술 문제를 논하기도 일러 보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아르헨티나의 경기에서 패한 이유는 전적으로 실력차일 뿐이다. 한국팀 공격의 주요 옵션중 하나인 박지성까지 메시 봉쇄에 매달리면서 한국팀은 이렇다할 공격도 제대로 펼치지 못했다. 바로 그것이 두팀간의 실력차인 것이다.

냉정히 말하면 아르헨티나는 우승을 바라보고 출전한 팀이고, 우리는 16강만 진출해도 "잘했다, 잘싸웠다"고 칭찬받을 수 있는 수준의 팀인 것이다.

물론 겉으로 드러난 득점 상황이 4-1이라 많은 국민들이 실망하고 허탈해 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르헨티나와 나이지리아의 경기를 되새겨 본다면, 우리가 강팀을 상대로 그럭 저럭 잘 싸웠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나이지리아 최강 전력은 '골키퍼'


아르헨티나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 득점 상황은 1-0으로 아르헨티나가 겨우 1골 차로 승리했다. 하지만 그 뒤엔 나이지리아 에니에아마 골키퍼의 눈부신 선방이 있었다. 만약 에니에아마 골키퍼의 신기에 까까운 선방이 없었다면 이 경기 또한 4-0 이상의 스코어로 끝났을 가능성이 높은 경기였다. 

이 경기에서 골키퍼를 제외한 나이지리아의 전력은 크게 위협적이지 못해 보였다. 물론 아르헨티나가 공수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선수들이기 때문에 이 경기 하나로 나이지리아의 전력을 평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두번째 경기를 보면, 나이지리아도 예상만큼 강팀은 아니란 결론에 이르게 된다. 실제로 나이지리아와 그리스전에서 비록 나이지리아 선수 한명이 퇴장 당한 상황이긴했지만, 나이지는 이렇다할 날카로운 공격을 펼치지 못하고 결국 그리스에게 2-1로 패하고 말았다. 바꿔 말하면 나이지리아 또한 날카로운 공격력을 갖춘 강팀은 아니란 얘기다.

그리스가 한국팀에게 준 '선물'

그리스가 나이지리아를 2-1로 꺽으면서 한국팀에게 몇가지 선물을 안겨줬다. 하나는 경기도중 나이지리아의 미드필더 카이타 선수가 퇴장 당하면서 한국전에 나설수 없게 됐다. 그나마 공격력이 무딘 나이지라의 공격 옵션 하나가 이탈한 상황인 것이다. 

게다가 그리스가 아프리카팀 특유의 '흥의 축구'에 찬물을 끼얹어 줬다는 점도 한국팀에겐 매우 긍정적이다. 그동안 월드컵에서 아프리카 팀은  연전연승을 하거나 경기에 승산이 있을 경우, 엄청난 폭발력을 발휘해 파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 그것이 바로 아프리카 특유의 흥의 축구인 것이다.

하지만 이미 2연패를 해 16강과는 거리가 멀어진 나이지리아의 경우, 마지막 경기인 한국과의 경기에서 흥의 축구를 구사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따라서 전방에서의 정교한 패싱 플레이로 골키퍼를 교란해 골을 넣거나, 프리킥이나 코너킥 같은 찬스를 잘 살려 선취득점을 한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는 경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국이 나이지리아를 이길 경우, 복잡한 경우의 수를 따지지 않고도 16강에 진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대진운으로 보나, 전력으로 보나, 이번 월드컵은 한국대표팀에게 있어 원정 첫 16강을 이루기엔 가장 좋은 기회로 보인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주변 여건도 16강 가능성을 높여 주고 있다. 한국팀은 언론이나 여론의 비판에 주눅들지 말고, 마지막 경기에서 멋진 플레이를 펼쳐주길 바라는 것도 이런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