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IN 독자IN!

청산은 이런 거나 하는 거다

친일파 후손 반격이 시작됐다
                                                                                         <시사IN> 정희상 기자

친일재산조사위가 지난 2년 동안 특별법에 따라 재산몰수 대상으로 선정한 악질 친일파는 총 451명이었다. 매국조약을 맺은 데 가담한 14명과 일본 귀족 작위 습작자 125명, 그리고 제헌 국회의원 및 중추원 참의 등 일본의 식민통치에 중추적으로 협력한 책임자급 친일파 305명이었다. 친일재산조사위는 이들이 1904년 러·일전쟁 때부터 1945년 광복 때까지 조성한 토지 추적 작업을 벌인 끝에 친일파 143명으로부터 3900여 필지(토지등기부상 1개의 토지로 치는 것) 1만9809㎡(공시지가 1260억원대)를 찾아냈다. 그 결과 명백한 매국 장물로 판단되는 589필지 439만㎡의 토지에 대해 국가환수 결정을 내렸다. 시가로 치면 845억원대에 이른다(표 참조).

물론 이 과정에서 특별법은 후손이 위원회에 이의 신청을 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 국가 귀속 조처에 불복할 경우 행정소송과 행정심판도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절차를 밟는 친일파 후손의 주장에는 역사 왜곡과 강변이 가득하다.

기사 전문 보기



보수정권 하나 들어 서더니 요즘 '좌파 청산'이니, '빨갱이'니 하는 말이 시중에 심심찮게 나돌고 있다.

시민들의 의식 수준이 좌우의 개념을 뛰어 넘어 안드로메다에 다다른 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그들(자칭 우파)'의 사고 수준은 1950년 6-25 내전 당시에 머물러 있는 듯 보인다.  

더군다나 역사적 순서로 따지면, 좌파보다는 친일파 청산이 우선이다. 좌파가 청산 대상인지도 의문이지만 굳이 좌파를 청산하고 싶다면, 친일파부터 청산해야 순서가 맞다.

그나저나, 친일파를 청산하고 나면 그동안 우리사회에 우파를 가장해 살아온 친일파 후손들이 죄다 사라져 단숨에 좌파 논란까지도 종식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