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해야하는데 일에 집중할 수가 없다. 이런 시국에 다른 일은 손에 잡히질 않는다. 나만 그런가." (전직 지역 신문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물러나지 않는 이상 국민들은 쉽사리 일상으로 돌아가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권위를 상실한 박근혜 대통령을 국민들이 더는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박근혜의 권위는 이미 중고생들에게조차 통하지 않고 있다. 중고생들이 집회 현장에서 쏟아내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비판 발언은 연일 화제가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는 버티기로 일관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20일 변호인을 통해 사실상 "검찰의 수사를 거부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물론 박근혜 대통령 본인이 직접 입장을 표명한 게 아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 변호인의 입장'이란 문서를 통해 발표된 것이다.
이에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4일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검찰 조사에 성실히 임할 각오"라고 밝힌 바 있다. 변호인의 입장문 하나가 불과 몇 주 전에 대통령이 직접 발표한 '대국민 담화문'의 내용을 뒤집어 버린 것이다. 어찌 되었든 국민들은 실오라기 같은 희먕으로 박근혜 대통령이 현 시국을 냉정하게 판단하기를 바라고 있다.
실제로 국민들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요구하는 것은 초지일관 '퇴진'이란 딱 두 글자이다. 일각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국가를 위해 마지막으로 할 수 있는 '애국'은 퇴진 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중앙일보>는 21일 "중국 당국이 한국산 드라마·영화·예능 프로그램의 방영과 한국 연예인의 중국 내 광고 출연을 전면 금지할 방침"이라고 단독 보도 했다. 이는 한반도 사드 배치 문제에 대한 중국의 '보복'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21일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임원진에게 "가계부채 증가, 환율과 금리 인상 등에 따른 위험요인을 철저히 점검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일부 경제지들은 "부동산 대출과 생활비 대출 등 가계 빚 문제가 심각하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은행 금리가 인상될 경우, 대한민국 경제는 늪으로 빠질 수 있는 상황인 것이다.
이처럼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농단' 사태가 아니더라도 대한민국은 풀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이 애국이라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그래서다. 권위를 잃은 대통령이 할 수 있는 게 있을까.
국민은 국민대로 퇴진운동
"국회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하라"
그래서인지 박근혜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투쟁은 눈물겹다. 매주 토요일 평균 수십만 명의 국민이 광화문에 모여 박근혜 퇴진을 외치고 있다. 광화문에 올라가지 못한 지방의 국민들은 적게는 수십에서 많게는 수만 명씩 모여 촛불집회를 열고 있다.
이뿐인가. 일부 국민들은 '촛불은 바람이 불면 꺼진다'는 김진태 의원의 발언에 맞서 건전지를 이용한 촛불을 준비하기도 했다. 급기야 박근혜 퇴진 집회가 열리는 장소를 알리는 '대동하야지도'까지 나왔다. 물론 지금까지의 분위기로 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스스로 물러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이와 관련해 주 아무개 씨는 최근 sns를 통해 "이제는 모두들 박근혜가 대통령직에서 끝까지 물러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깨닫기 시작한 것 같다"며 "지금부터라도 국회는 국회대로 탄핵을 위한 국정조사와 특검 수순을 밟고 국민들은 국민들대로 퇴진운동을 벌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