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홍성 내포 동네 기자

나무도 태양광처럼 대안 에너지가 될 수 있을까

[인터뷰] 충남적정기술협동조합연합회 안병일 이사


지역의 문화나 특징에 맞게 고안된 적정기술이 최근 대안 에너지 산업과 결합하고 있다.

충남적정기술협동조합연합회(회장 이승석)는 최근 충남 보령시 청라면의 은고개 마을과 '산림자원 에너지화'를 골자로 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일종의 유럽형 화목 보일러 기술을 도입해 마을의 에너지원으로 활용 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화목 보일러의 경우, 비록 소량일지라도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 등을 유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그러나 화목보일러는 도시가스를 보급하기가 쉽지 않은 농촌에서는 이미 대안 에너지로 활용되고 있다. 과수원의 나무나 가로수 등의 잡목 혹은 가지치기 과정에서 나오는 나무들을 보일러용 땔감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관련 전문가들은 나무와 낙옆 등의 산림 에너지원을 태양광이나 풍력처럼 대안 에너지의 하나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유재준 아하!적정기술협동조합(홍성) 이사는 "나무나 낙엽 등의 산림자원은 태우더라도 석탄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에 비해 환경오염이 적다"며 "농촌의 특성에 맞는 재생에너지로서 산림에너지가 지닌 가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과연 산림자원이 태양광이나 풍력처럼 대안 에너지로서의 가치와 가능성을 지니고 있을까. 그에 대한 답을 들어 보기 위해 9일 오전, 내포신도시 공익활동지원센터에서 충남적정기술협동조합연합회 안병일 이사를 만났다. 아래는 그와의 일문일답.



       
(9일 오전, 내포신도시 충남공익지원활동센터에서 충남적정기술연합회 안병일 상임이사를 만났다.)


- 산림에너지를 활용 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화력발전소가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래서 대안으로 태양광이나 풍력이 조명 받고 있다. 하지만 태양광이나 풍력만으로는 원자력이나 화력발전을 100% 대체 할 수 없다. 낙엽과 나무 등의 산림 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은 그래서 중요하다."  

- 하지만 환경적인 측면에서, 나무를 태워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에 대한 대중적인 거부감이 있다.
"연소를 시키는 배출 가스의 질이 중요하다. 나무를 태우면 기본적으로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데 가장 큰 문제는 미세 먼지다. 미세 먼지를 줄이는 기술이 가장 중요하다."

- 대안은 있나.
"현재로서는 유럽의 기술을 활용할 수밖에 없다. 유럽은 미세먼지 배출 기준이 엄격하다. 미세먼지 배출 기준을 시간당 40mg으로 제한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기준에 맞추다보니 유럽은 관련 기술이 상당히 발달해 있다." 

- 유럽의 상황은 어떤가.
"나무는 일상에서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이다. 유럽은 이미 산림 바이오메스 즉, 나무와 낙옆 등의 산림자원을 풍력이나 태양광과 같은 대안 에너지의 하나로 받아들이고 있다. 유럽의 경우, 에너지 자립마을에서 나무를 에너지원으로 채택하는 곳이 적지 않다."

- 그렇다면 나무는 어디서 어떻게 구하나.
"그래서 사전 조사가 중요하다. 반경 70km 이내에 나무의 가지치기로 인해 나온 잡목의 양이나 간벌양 등을 정확히 파악해 화목 보일러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특히 나무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산립조합 등의 협력과 지원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