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나라당과 정부는 촛불시위 과정에서 나온 각종 정책적 의제가 확대 재생산 되는 것을 경계하는 듯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사실상 정부의 각종 정책, 구체적으로 대운하, 민영화, 교육 문제 등은 촛불집회 초기부터 '자유발언'의 단골 메뉴였다. 실제로 이것은 언제든 이슈로 재점화되어 '확전'의 소지를 갖추고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최근 광우병대책위가 이 문제를 가지고 성급하게 '정권 퇴진 운동까지 불사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촛불시위대 내부에서도 찬반 여론이 일고 있다. 이런 여론의 움직임은 '정권에게도 숨돌릴 기회를 주면서, 여론도 재정비'하는 소강상태의 국면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쇠고기 문제는 이번 사태의 실마리를 푸는 단초에 불과하다. 정부가 앞으로 또다시 쇠고기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보인 것과 똑같은 행태로 정책을 추진한다면 촛불은 또다시 타오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최근 정부나 여당의 일각, 혹은 이문열과 같은 보수계열 인사들의 입에서 나오는 얘기를 듣다 보면, 촛불에 불당길 소리들을 서슴없이 하고 있는 듯 보인다. 유감스럽게도 그들은 그동안 정부가 촛불의 민의와는 동떨어지는 발언을 일삼다가 사태를 더욱 악화시켰다는 점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정부나 여당은 잠시 소강국면으로 들어선 듯 보이는 촛불에 안심해선 안되는 시점이다.
정부나 여당이 촛불이 경고한 '메시지'를 잊어버리고 엉뚱한 방향의 대책을 내놓거나, 전과 같은 행태를 반복 한다면, 그것은 한나라당과 정부뿐 아니라 온국민의 불행이 될 것이란 게 내 판단이다. 부디 MB나 한나라당이 오판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관련기사 링크> 위험스런 발언들
MB "신뢰 담보안되는 인터넷은 약 아닌 독"
이문열 "네티즌에 대한 의병운동 일어나야"
주성영의원 "촛불시위는 천민민주주의"
사실상 정부의 각종 정책, 구체적으로 대운하, 민영화, 교육 문제 등은 촛불집회 초기부터 '자유발언'의 단골 메뉴였다. 실제로 이것은 언제든 이슈로 재점화되어 '확전'의 소지를 갖추고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최근 광우병대책위가 이 문제를 가지고 성급하게 '정권 퇴진 운동까지 불사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촛불시위대 내부에서도 찬반 여론이 일고 있다. 이런 여론의 움직임은 '정권에게도 숨돌릴 기회를 주면서, 여론도 재정비'하는 소강상태의 국면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쇠고기 문제는 이번 사태의 실마리를 푸는 단초에 불과하다. 정부가 앞으로 또다시 쇠고기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보인 것과 똑같은 행태로 정책을 추진한다면 촛불은 또다시 타오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최근 정부나 여당의 일각, 혹은 이문열과 같은 보수계열 인사들의 입에서 나오는 얘기를 듣다 보면, 촛불에 불당길 소리들을 서슴없이 하고 있는 듯 보인다. 유감스럽게도 그들은 그동안 정부가 촛불의 민의와는 동떨어지는 발언을 일삼다가 사태를 더욱 악화시켰다는 점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정부나 여당은 잠시 소강국면으로 들어선 듯 보이는 촛불에 안심해선 안되는 시점이다.
정부나 여당이 촛불이 경고한 '메시지'를 잊어버리고 엉뚱한 방향의 대책을 내놓거나, 전과 같은 행태를 반복 한다면, 그것은 한나라당과 정부뿐 아니라 온국민의 불행이 될 것이란 게 내 판단이다. 부디 MB나 한나라당이 오판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관련기사 링크> 위험스런 발언들
MB "신뢰 담보안되는 인터넷은 약 아닌 독"
이문열 "네티즌에 대한 의병운동 일어나야"
주성영의원 "촛불시위는 천민민주주의"
'내멋대로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촛불정국 장기화 누구 탓인가? (0) | 2008.06.26 |
---|---|
누리꾼 '권위'에 저항하다 (0) | 2008.06.22 |
관변단체의 촛불 반대집회를 보며 (0) | 2008.06.16 |
KBS, 결코 위축될 필요가 없다 (0) | 2008.06.12 |
보수주의자여 세상변화에 눈뜨시라 (0) | 2008.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