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IN 독자IN!

대운하 국가적 미스터리?

진실의 등불 밝힌 대운하 양심선언
시사인 고재열 기자

국책 사업’으로 진행될 예정이던 ‘한반도 대운하 사업’이 심각한 저항에 부딪히면서 ‘국가적 미스터리’로 바뀌었다. 청와대와 국토해양부 등 관련 부처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대운하를 한다는 것인지 만다는 것인지, 4대 강 하천 정비사업으로 전환한 것인지, 하천 정비사업의 탈을 쓴 대운하 사업을 한다는 것인지, 민간 주도로 한다는 것인지 민간 주도로 보이게 사업을 한다는 것인지, 혼란스럽다.

‘하느냐, 마느냐’ 대운하를 둘러싼 풀리지 않는 고르기아스의 매듭을 끊은 사람은 바로 건설기술연구원 김이태 박사(사진)였다. 그는 지난 5월24일 인터넷에 “한반도 물길잇기 및 4대 강 정비계획의 실체는 운하계획이다. 이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이른바 ‘보안 각서’를 썼다. 국토해양부 태스크포스로부터 매일 반대 논리에 대한 정답을 내놓으라는 요구를 받지만 반대 논리를 뒤집을 만한 대안이 없다”라고 밝혔다. 그는 국토의 대재앙을 막기 위해 대운하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행히 김 연구원은 지금까지는 별다른 불이익을 받지 않았다. 국민이 그를 지켜주었기 때문이다. 특히 네티즌은 ‘양심선언한 김이태 박사를 지켜달라’는 사이버 청원을 ‘다음 아고라’에서 진행해 5만8000명(6월7일 현재)의 서명을 이끌어냈다. 여론의 비난을 의식한 건설기술연구원 측은 징계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기사 전문 보기


[편집인 전설 주]
정부가 '쇠고기 파문' 다음으로 가장 많이 오락가락했던 정책이 대운하이다. 지금도 여전히 대운하 사업이 진행될 것인지 아니면 이대로 멈출 것인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고재열 기자가 지적한 것처럼 대운하 사업은 여전히 국가적 미스터리인 셈이다.

정부가 항간에 떠도는 것처럼 '소망정권이 운하에 수장되는 짓'만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