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 끊어도 다음에 영향 없다
조중동 페이지뷰 점유율 0.4% 불과, <다음> 6월 대약진
뷰스앤뉴스 박태견 기자
<조중동>이 <다음>에 뉴스공급을 끊기로 한 하루 전날인 4일, <조중동>이 뉴스를 끊더라도 <다음>에 거의 아무런 타격도 가하지 못할 것이란 분석이 잇따라 주목된다.
'아고라 열풍'으로 <다음> 대약진, <네이버> 위축
4일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6월 인터넷 총 이용시간 및 페이지뷰는 학생들의 시험 등의 영향으로 전월보다 3% 내외 감소했다. 특히 <네이버>의 경우 지난달 주요 서비스의 총 체류시간이 전월대비 5~10% 내외로 감소했고(검색 -4.7%, 블로그 -10.2%, 뉴스 -8.3% 등), 통합검색쿼리수는 8.8% 감소했다.
하지만 <다음>의 경우는 총체류시간이 7.1% 상승했으며, 특히 아고라 서비스 이용도의 증가로 인해 뉴스 체류시간이 전월대비 15.2%나 상승했다. 통합검색 쿼리수 감소도 2.8%에 그쳤다.
기사전문보기
조중동 페이지뷰 점유율 0.4% 불과, <다음> 6월 대약진
뷰스앤뉴스 박태견 기자
<조중동>이 <다음>에 뉴스공급을 끊기로 한 하루 전날인 4일, <조중동>이 뉴스를 끊더라도 <다음>에 거의 아무런 타격도 가하지 못할 것이란 분석이 잇따라 주목된다.
'아고라 열풍'으로 <다음> 대약진, <네이버> 위축
4일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6월 인터넷 총 이용시간 및 페이지뷰는 학생들의 시험 등의 영향으로 전월보다 3% 내외 감소했다. 특히 <네이버>의 경우 지난달 주요 서비스의 총 체류시간이 전월대비 5~10% 내외로 감소했고(검색 -4.7%, 블로그 -10.2%, 뉴스 -8.3% 등), 통합검색쿼리수는 8.8% 감소했다.
하지만 <다음>의 경우는 총체류시간이 7.1% 상승했으며, 특히 아고라 서비스 이용도의 증가로 인해 뉴스 체류시간이 전월대비 15.2%나 상승했다. 통합검색 쿼리수 감소도 2.8%에 그쳤다.
기사전문보기
조선일보가 인터넷에선 그다지 '약발'이 없어 보인다.
조선일보는 얼마전 인터넷 다음에 뉴스 공급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한다. 물론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의 반응은 대체로 '듣던 중 반가운 소리'라며 반기는 분위기다.
일부 문화나 공연 스포츠 관련 기사에서는 여전히 조선일보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정치 분야에서 조선일보는 누리꾼들에게 인기가 없다.
조선일보의 논조가 상당히 왜곡되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뷰스앤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조선 동아 중앙 일보의 미디어다음 뉴스 공급 중단'이 다음에 아무런 타격을 줄 수 없다는 분석이 나와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상단 박스 기사 참조).
'뉴스야 뭐하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친소 홍보'에 열올리던 언론, 딱걸렸네 (2) | 2008.07.08 |
---|---|
'강만수 유임', 민심 수습 포기? (2) | 2008.07.08 |
경제 위기? MB 탓이다 (0) | 2008.07.03 |
한겨레21, 공안정국은 이명박의 '성전'이다 (0) | 2008.07.02 |
정부의 경제 위기론, 대안없이 또 '남 탓' (0) | 2008.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