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위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제 위기? MB 탓이다 [경향 뉴스메이커] 성장주의 정책이 물가상승 불렀다 올 들어 유가 폭탄을 맞아 물가가 치솟으면서 서민생활이 흔들리자 MB노믹스의 ‘성장주의 경제정책’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747’을 내걸고 고공비행을 꿈꾸던 새 정부의 경제정책이 비상은커녕 추락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주요 경제 공약이던 ‘747’ 프로젝트가 ‘7% 경제성장·일인당 GDP 4만 달러·세계 7대 강국 진입’이 아닌 ‘물가상승률 7%·경제성장률 4%·대통령 지지율 7%’라는 냉소 섞인 농담이 유행할 정도다. 그나마 내놓은 대책이 10조5000억 원을 쏟아 붓는 헌정 사상 초유의 ‘세금 환급’이지만 “24만 원을 한꺼번에 다 받아도 차에 기름 두 번 채우면 끝”이라는 냉소만 되돌아왔다. 정부의 대책이라는 게 ‘언 .. 더보기 정부의 경제 위기론, 대안없이 또 '남 탓' 경제위기만 강조, 정작 대책은 없다 경향신문 정부와 여당의 과도한 ‘경제위기론’ 주장이 사안의 본질을 왜곡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당·정·청의 핵심 인사들은 최근 앞다퉈 “제2의 국제통화기금(IMF) 환란 사태가 올 수도 있다”며 비상국면임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각종 경제지표는 좋지 않다. 하지만 정부·여당이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주력하기보다는 지나친 ‘위기설’ 확산을 통해 촛불집회를 압박하는 데 힘을 쏟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한승수 국무총리는 1일 국무회의에서 “연일 계속되는 시위는 외국인투자자들의 한국 직접투자를 기피하게 하고 국내 기업의 투자도 위축시키고 있고, 한국 경제의 신인도도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며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모든 여건이 악화되고 있..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