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문화제 썸네일형 리스트형 과격시위 왜?, 답하기도 입아프다 과격시위 왜…不通정부 강경진압 탓 경향신문 김다슬 강병한 기자 촛불시위가 갈수록 격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국민과 소통하겠다는 정부의 돌변이 촛불시위대를 흥분시킨 측면이 강하다는 게 지배적인 분석이다. 6·10 촛불대행진 후 주춤했던 과격 시위는 지난 25일부터 처음 등장했다. 촛불 민심을 무시한 정부의 쇠고기 고시 강행이 예고된 날이다. 시위 행렬 속에서는 “두 달 가까이 촛불을 든 결과가 이것이냐” “이제 말로 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보수언론의 보도가 시위대의 분노를 증폭시킨 면도 있다. 촛불시위에 나선 시민들을 거의 ‘폭도’로 몰아붙이고 정부의 공권력 행사를 부추기는 데 대한 분노의 표출이다. 정모씨(33·교사)는 “폭력시위를 반대하지만 경찰 폭력은 은폐하면서 평화행진하는 다수의 시.. 더보기 MB는 촛불을 이길 수 없다 '제네들, 저러다 말겠지.' 아마도 정부는 이 정도 수준의 생각으로 촛불을 얕잡아 보고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어쩌나?. 정부가 아무리 물대포를 쏘고 공권력을 동원해 엄포를 놓아도 촛불은 결코 지치거나 패할 수가 없으니 말이다. 그들은 정부와는 '노는 방식'에서부터 다르다. "미친소 너나 먹어!"라는 경쾌한 문장에서부터 정부는 이미 촛불시위대에 졌다. 그들의 의사 표현 방식은 이처럼 단순 명쾌하다. 미국 쇠고기가 그렇게 좋으면 '너나 먹으면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정부가 과학이 어쩌네 저쩌네 하며 떠는 것 보다 훨씬 더 설득력이 있다. 거기엔 웃음과 해학이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MB가 생각하는 '잃어 버린 10년'이 만들어낸 산물이다. 자유와 평화, 인터넷을 통한 쌍방향 소통방식이 만들어낸 차세대 한..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