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나라당은 조삼모사 정당인가 데일리서프라이즈 박찬종 전의원 "한나라당 야당할 생각없나?" 박 전 의원은 또 "촛불 사태 이후 청와대와 정부여당이 인터넷에 올라오는 정부비판 글에 신경과민이 되어 있다."면서 "나도 한나라당에 몸담았던 사람이지만, 한나라당 사람들은 다음에 야당할 생각없나. 언젠가는 이 모욕죄를 무기로 당신들 옥죄면 어떻게 할 것이냐 되묻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포털업체 다음의 책임론 제기와 관련해 "죄가 안되는 글을 올렸는데 다음이 무슨 죄가 되나"고 반문했다. 기사전문보기 오죽하면 세간에서 한나라당을 '딴나라당'이라고 부를까 싶다. 최근 검찰이 미네르바로 지목한 30대 네티즌을 변호하고 있는 박찬종 전의원도 한나라당에 대해 쓴소리를 내뱉기 시작했다. 한나라당이 자자손손 정권을 대물림 한다면 몰라도, 그들이 지금 추.. 더보기 누리꾼 '권위'에 저항하다 촛불집회 초기 경찰의 연행이 시작되자 시민들은 "나도 잡아가"라는 구호와 행동(닭장차투어)으로 맞섰다. 최근 '조중동 광고끊기 공세'에서도 이런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하단 박스기사 참조) 시민들은 지금 우리 사회의 '비상식적 권위주의'에 반발하고 있는 듯 보인다. 촛불 정국에서 시민들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등의 보도 태도를 직시했고, 언론의 문제를 논리가 아닌 체험으로 알아 버렸다. 그래서 촛불이 언론으로까지 옮겨 붙은 것이다. 집권 여당인 한나라당은 이번 촛불 정국을 철저히 분석해 깊이 이해하고, 더나아가 반성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지난해 한나라당은 인터넷이나 여론의 선전전에서 승리했다. 그 이유는 한나라당이 인터넷의 부정적인 여론을 적절히 견제했기 때문이 아니다. 지난 대선 당시의 분위기는 집권.. 더보기 어느 대만인이 본 촛불집회 [딴지일보] 대만인의 눈으로 본 촛불집회 나는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고 한국어 구사가 가능한, 대만 국적의 평범한 한 사람의 화교다. 마침 청와대 인근에 살고 있어서 최근의 촛불집회를 가까이서 볼 수 있었고 또한 최근 대만에서 불고 있는 을 접하고 느낀 바가 있어서, 그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최근 한국의 촛불시위에 대해 사견 몇 자 적어 볼까 한다. IMF 원조당인 한나라당, 그들은 애초부터 '잃어버린 10년'을 운운할 자격이 없었다. 아직도 수구꼴통들은 촛불시위에 대해 '반미 친북 좌파'가 배후라며 코믹발언을 일삼고 있다. 웃어주는 것도 한 두번이다. 닥치고 미친소나 실컷 드시기 바란다. [편집인 전설 주] 과거에는 대만이 한국보다 더 잘 살았는데, 중국으로 인해 국제무대에서 존재 위기를 느끼던 대만을.. 더보기 꼼수부리면, 또다른 촛불이 켜진다 정부가 이제서야 사태를 파악하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시간이 지나면 문제가 해결 될 것'이라는 생각으로 전처럼 '꼼수'를 부리고 있는 것일까. 촛불에 밀린 MB, 대운하 보류? 민심소나기 피하자 '시간벌기' 그러나 이제 더이상 정부의 꼼수는 통하지 않을 듯 싶다. 경찰이 '비폭력'을 외치는 촛불시위대에게 폭력을 가하는 장면이 인터넷에 삽시간에 퍼지면서 민심도 흉흉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이전처럼 국민 반발이 예상되는 정책을 놓고 또다시 '하네 마네'하며 오락가락 한다면 기존의 촛불시위가 반정부 투쟁으로 변하는 것은 시간 문제인 듯 보이기 때문이다. 최근 경찰이 무방비 상태의 여대생을 무자비하게 폭행하는 동영상을 보면서 '민주주의의 심각한 위기'도 느꼈다. 바로 그 때문에 촛불을 지지할 수밖에 .. 더보기 MB 취임 100일, 사자성어로 풀어보면 '100일이이 아니라 마치 3년은 지난 듯싶다.' MB 집권 100일. 짧은 기간 동안 정말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 백일에 대해 사자성어로 정리해 본다면, 아마도 견강부회 묵묵부답 안하무인 사면초가 정도가 될 듯 싶다. 1. 견강부회 (牽强附會) 이 말의 사전적 의미는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자기에게 유리하게 함'이다. 안전성을 100% 담보하지 못하는 미국산 쇠고기에 대해 정부는 안전하다는 주장만을 되풀이 했다. 그 결과 대대적인 국민저항운동으로까지 번진 '촛불 집회'를 촉발 시켰다. 또 정부는 대운하 문제만을 가지고도 벌써 여러 차례 말을 바꾸어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가 바닥으로 추락한 상태이다. 2. 묵묵부답 (默默不答) 수많은 전문가들이나 네티즌들이 .. 더보기 이전 1 다음